서양미술사 참고자료/페미니즘미술

서양미술사93 페미니즘 : 오 키프, 신디 셔먼

AH101 2012. 2. 29. 20:34
반응형

   

서양 미술사 - 93(페미니즘: 오키프, 신디 셔먼)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 1887~1986)


미국의 대표적 여성미술가인 오키프는 컬렉터이자 사진작가인 스티그리츠의
부인으로도 유명하다(Alfred Stieglitz 1864-1946).
미국 위스콘신주 선프레리 근처 농장에서 태어나 1904 시카고 미술학교,
1907
뉴욕 아트 스튜던츠 리그에서 공부했으며 상업미술 활동을 했다.
1912~1916
년에 텍사스 등의 학교와 대학에서 미술을 가르쳤다.
1916
사진작가인 앨프레드 스티글리츠가 그녀의 소묘를 보고 작품성을
인정하여 화랑 '291'에서 개인전을 열어주었다. 이들은 1924 결혼하였고
스티글리츠는 그녀의 작업을 항상 격려해 주었다. 스티글리츠는 그녀를 모델로
수백 점의 연작 인물사진을 찍었다. 그후 그녀는 뉴욕과 뉴멕시코에서 살다가
1946
스티글리츠가 죽자 뉴멕시코 사막에서 은둔생활을 하며 그림을 그렸다.

오키프는 정밀주의적 화풍을 보이는 수채화로 유명한데, 주제는 조개 껍질, ,
두개골, 골반 , 바위 산등 자연의 형태를 확대시킨 것들이다.
탐구적이고 미묘한 율동을 지닌 윤곽선으로 이러한 형태들을 그리고 위에
선명한 색채의 엷은 물감으로 강약을 부여했다. 신비스런 암시를 던지며 감각적
이면서도 상징적인 해석을 가능케하는 그녀의 작품은 여성의 신체 일부를 연상
시킴으로 패미니즘적으로도 또는 남성 관객을 즐겁게 해주는 상당히 관능적인
매력이라는 두개의 상반된 기능으로 작용한다. 평생을 뉴멕시코 경계에 살았던
그녀는 주변의 자연을 주로 소재로 삼았던 점에서 자연주의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녀 작품에 대한 평가는 항상 엇갈린다.
최근 패미니스트 계열에서 활발하게 거론되는 그녀의 작품은 여러가지 의미를
더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오키프 자신은 그녀가 패미니스트들과 함께
거론되는 것을 상당히 거부하는데, 자신이 의식적으로 여성임에 대해 전혀 염두
하지 않음을 강조하고 때론 "나를 도와준 전부 남자들이었다"라고 말하는
성적 분류에 대한 반감마저 갖는다. 그러나 개인적이고 감정적인 이러한 의도와
달리 분명 그녀 작품 안에는 당시 패미니즘 미술의 의미를 발견할 있는
같다. 작품 안의 여성성의 결부는 관객들에 의해 부과된 것인데, 특히 비평가들
오키프 그림을 보고 " 아기가 갖고 싶어요"라고 외친다고 평가함으로 더욱
같은 의미가 증폭되었었다. 그녀 작품의 , 표면 질감들이 상당히 성적,
또는 관능적 감각을 유발시키는 것은 사실인데, 때로는 성기의 노출과 같은
표현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이리스 Iris >에서 보이는 꽃의 형상이
그렇다. 그녀는 자신이 살았던 지역에 대한 상당한 애정을 갖고 작업했는데,
시간과 대지가 여인이나 자연 풍경을 마치 변형되는 것처럼 보여주기도
한다. 여성 작가들은 자기가 사는 대지나 환경에 대한 애정이 상당히 높고
이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작품에 영향 준다고 있다.
고고학자들이 대지는 ""으로 세계를 다스리는 권력을 생산한다라고 했는데
바로 여성이 선사시대 이래로 이어지는 자연숭배와 대지 경외의 주체로
자리잡음은 자연에 가깝고 힘의 근원을 성의 서열적 도식에서 탈피하여 여성이
이어가고 있음이다. 이렇게 도외시 되었던 여성에 대한 찬양과 축하의 향연이
다시 시작되는 사건을 70년대 이후 여성작가들의 작품에서 있다.

오키프는 서유럽계의 모더니즘과 직접적 관계가 없는 추상환상주의의 이미지를
개발하여 20세기 미국 미술계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했다.
후기 작품은 주로 뉴멕시코의 맑은 하늘과 사막 풍경을 그렸고, 1970년에
휘트니 미술관에서 회고전을 개최하였다.

*Red Canna, 1923*

*Grey Line with Black, Blue and Yellow, 1923*

*Light Iris, 1924*

*Oriental Poppies, 1927*

*Shell No. 1, 1928*

*Jack-in-the-Pulpit No. II, 1930*

*Jack-in-the-Pulpit No. III, 1930*

*Jack-in-the-Pulpit No. IV, 1930*

*Jack-in-the-Pulpit No. V, 1930*

*Jack-in-the-Pulpit No. VI, 1930*

*Cow's Skull With Calico Roses, 1931*

*The Shell, 1934*

*Sunflower, New Mexico I, 1935*

*Cottonwood III, 1944*

*Goat's Horn with Red, 1945*

*Cebolla Church, 1945*

*Dark Tree Trunks, 1946*

*Sky Above White Clouds I, 1962*

신디 셔먼(Cindy Sherman: 1954~ )


미국의 여류 사진 예술가로 1954 미국 뉴저지주 글렌리지에서 출생하였다.
흑백사진이 개념미술에 차용되던 1970년대에 팝문화를 기반으로 대중문화와
매체에 관심을 갖고, 1977 《무제 사진 스틸》 시리즈 작업을 시작하였다.
1950~1960
년대 미국영화에 등장하는 여배우들을 패러디한 시리즈는,
미국적 아이콘인 금발머리의 여배우로 변장한 신디 셔먼(Cindy Sherman)
자신의 모습을 담은 작품들이 주를 이룬다.
그녀의 작품에서는 카메라의 뒷면이라는 관음자적 모더니즘 주체가 아닌,
카메라 앞에 나와서 보여주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주체를 있다.
, 사진가(관람자) 시각에 모델(객체) 대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작품의
모델이 되어 시선의 주체와 객체를 모두 담당했다. 이와 같은 독특한 역할은
1970
년대 비평을 선도했던 《옥토버 October》지의 주요한 비평의 대상
이었다.

그녀의 작품은 주제별로 대략 5단계로 나누어진다. 1975~1980년대
초기는 '흑백스틸' 작업 시기로서, 금발의 여배우로 분장한 신디 셔먼이 등장
하는 《무제 사진 스틸》 시리즈가 제작되었다.
번째 시기(1983~1984) 패션모델을 패러디한 《패션사진》시리즈
제작 시기로, 여기에서는 아름답고 우아한 여인이 아닌 추하고, 피곤한, 역전된
여성의 모습을 포착한다.
1985~1991
년의 작품은 비평가들의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킨 시기이다.
애브젝트 아트(Abject Art)라고 하는, 신체와 관계된 액체 분비물·정액·혈흔·
토사물 등의 불쾌한 것들로 작품을 만들었다. R.크라우스는 작품들을
'
재난들과 동화들' '역겨운 사진들' '시민전쟁'이라고 불렀다.
특히 주목되는 작품은 《무제 #153(1985)인데, 텔레비전 드라마 《트윈
픽스》의 장면인 강가 모래밭에 길게 누운 젊은 여성의 시체와 똑같이
연출한 장면이다.
번째 시기(1988~1990) '역사 초상화' 패러디한 시기이다.
고급 모더니즘으로 상징되는 15~19세기 후반 유럽 귀족의 초상화를 가슴을
드러내거나 평범한 여성 등으로 대중화시켜 패러디한 작품을 발표하였다.
마지막 시기인 1992년은 절단된 마네킹의 사지가 등장하는 마네킹과 섹스
사진이 특징이다. 유명한 《무제 #250(1992)에는 노인의 마네킹이
성기를 노출한 임신한 몸을 흉측하게 드러내며 누워 있다.
1997
년에는 영화 《오피스 킬러 Office Killer》를 제작하여 할리우드를
선망하는 여성의 허무한 모습, 불혹에 이른 아역배우, 40 후반의 중산계급
중년여성 등을 묘사하였다. 햇빛에 그을린 피부와 머리, 성형수술의
후유증을 상징하는 듯한 플라스틱 인조 가슴, 추한 화장과 의상 등으로 묘사
되는 여성의 외적 이미지를 보여주어 삶에 찌든 할리우드의 이면을 드러내었다.

그녀의 작품에서 보이는 공통점은 '여성' ''이다. 신체라는 외부 이미지를
넘어서 여성 신체를 구성하는 내부 이미지를 묘사한 오브젝트 아트에 이르기
까지 여성의 신체는 셔먼 작품의 근원이다.
여기에는 모더니즘과 가부장적 남성 사회가 단지 아름다움으로 규정했던
여성의 신체를 불쾌감을 주는 신체 내부적 요소로 보여줌으로써, 변장 뒤에
감춰진 진실을 드러내는 동시에 여성의 진정한 자아확립과 주체회복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목적이 담겨 있다.

*무제 스틸 #13(Untitled Film Still #13) by Cindy sherman*

*Untitled Film Still #15, 1978*

*Untitled Film Still #48, 1979*

*Untitled Film Still #50, 1979*

*Untitled #71, 1980*

*Untitled #76, 1980*

*Untitled #86, 1981*

*Untitled #96, 1981*

*Untitled #98, 1982*

*Untitled #123, 1983*

*Untitled #153, 1985*

*Untitled #272, 1992*

*Untitled #323, 1995*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에서는 세계 미술의 최신 흐름을 발빠르게 선보이고 있다.
현대 여성사진가에서 절대적으로 빼놓을 없는 신디 셔먼과 한참 맹활약 중인
바네사 비크로프트가 주인공들이다.
전시 제목 'HER BODIES' 언뜻 문법에 맞지 않는 문구이지만 분명 상상이 되는
제목이다. 이렇게 15년의 나이 차이를 가진 작가들임에도 불구하고 갤러리에서
두여성 작가의 작품을 전시로 묶어 보여줄 있게 계기는 제목에서도
있듯이 그들의 작품이 모두 여성의 몸을 기본 소재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신디셔먼은 1970년대부터 30 동안 다양한 캐릭터의 모습으로 자신을 변화
시키는 연출사진을 제작해왔다. 아라리오 갤러리에서 전시되는 작품 <미스터리 살인
인물들(Murder Mystery People)> 현재에는 없는 17점의 세트작품으로
이후 제작되는 '무제(Untitled)'라는 제목이 붙은 일련의 작품들과는 약간의 차이를
지닌다. 스튜디오의 선이 정리되지 않은 드러나고 그림자 처리가 되지 않은
조금은 엉성한 듯한 그녀의 초창기 작업으로 눈여겨 볼만하다. 또한 전시 작품
<
무제 #224(Untitle #224)> 역사 인물 초상 시리즈 가장 논의가 많이 되고 있는
작품으로 미술사 속의 거장 '카라바지오(Caravaggio)' <병에 걸린 바쿠스>
떠올리게 한다. 카라바지오의 자화상으로 알려져 있는 작품은 신화속의 인물
바쿠스의 의상을 입고는 있지만 해쓱한 얼굴과 더러운 손톱으로 사실성에 충실한
작품이다. 셔먼은 카라바지오의 이미지를 완벽하게 재연출 해낸다.
2000
년도로 들어서면서 셔먼은 중년여성의 과장된 모습을 보여준다.
<
무제 #357 (Untitled # 357)>같은 작품들이 그것인데, 이상 '예쁘다'
없는 사진 여성들의 과장된 메이크업과 가식적인 미소는 보는 이로 하여금
거북한 느낌과 동시에 안타까움을 느끼게 한다.

중년여인 시리즈는 셔먼의 최근 작업인 광대시리즈로 연결되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최근 2004 작품 <무제 #425 (Untitled #425)> 점이
컬렉션 되었다. 광대 시리즈는 컴퓨터기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광대 이미지들을
하나의 화면속에 구성하였다. 지금까지400 이상의 작품에서 캐릭터들을
실험해 셔먼의 작품 세계가 '광대'라는 인물로 집약되어 보여진다.
광대시리즈는 작가로서 셔먼이 재현하고 있는 여성이미지이며 동시에 중년으로
넘어선 셔먼 자신의 모습임을 눈치챌 있어 씁쓸함을 느끼게 한다.

셔먼의 작품이 작가가 연출한 여성 이미지라면, 바네사 비크로프트의 작품의
여성들은 실제 여성들이다. 1993년부터 지금까지 52회의 라이브 퍼포먼스를
가져온 바네사 비크로프트는 가장 유망한 현대 여성작가 명이다.
회화 같기도 조각 같기도 그녀의 작품은 자체로 조형적 특성을 지니며 전체
구성을 형성하는 살아있는 누드 퍼포먼스이다.
머리에서 발끝까지 완벽하게 꾸며진 누드 모델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식은땀을 흘리고
피곤에 지쳐 주저 앉거나 눕기 시작 모델들의 벗은 몸은 이상 눈요기거리가
아닌 그저 벗고 있는 몸이 된다. 꾸며진 몸에서 거짓 없는 몸으로, 여기에 퍼포먼스의
전략이 있다. 사진과 비디오 작품으로 남겨지는 그녀의 작품들 , 아라리오 갤러리
에는 작가의 의붓 자매를 모델로 "시스터 캘린더 (Sister Calender)" VB45,
VB47, VB48, VB52
사진 작품 20 점이 전시 된다.
한국에서 바네사 비크로프트의 퍼포먼스가 한번도 성사되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아라리오 갤러리에서는 다방면으로 그녀의 퍼포먼스 기획을 검토했으나, 누드
퍼포먼스에 대한 국내 인식 부족과 작가의 개인적 사정에 의해 실제 퍼포먼스는
무산되었다. 하지만 VB48 기록한 비디오 작품이 전시되기에 실제 퍼포먼스가
주는 감흥을 갤러리를 찾는 모든 관객들이 경험할 있을 것이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