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미술사 참고자료/아르누보

서양미술사45 아르누보-알폰스 무하

AH101 2012. 2. 16. 21:31
반응형

   

18. 아르누보( Art Nouveau)

Self Portrait, 1907/Alphonse Mucha


아르누보(Art Nouveau) 1890~1910년에 유럽과 미국에서 유행한
장식예술 양식이다. 길고 구불구불하며 유기적인 선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주로
건축물, 실내장식, 보석세공, 유리 디자인, 포스터, 삽화 등에 쓰였으며 19세기 예술과
디자인의 대부분을 주도했던 모방적 역사주의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양식을 창조하려는
계획적인 시도였다. 유럽의 전통적 예술에 반발하는 당시 미술계의 풍조를 배경으로
중세적인 수공예 정신의 복귀를 선언했던 모리스의 미술과 공예운동, 빅토리아 시대의
인습에 반항하고 초기 르네상스의 우아함과 색채를 재생하려했던 라파엘전파등이
기원이라 있다. 19세기 후반에 유행처럼 번졌던 아카데믹하고 절충주의적인
'
역사주의' 대한 반발로 나타난 아르누보 운동은 과거의 전통 양식들을 모방하거나
변형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하나의 새로운 양식을 창출하고자 했다. 그리스·로마 ·고딕
양식에서 구하던 것을 자연에서 모티브를 빌려 새로운 표현을 시도하였으며, 또한 넓은
의미로는 상징주의의 양상으로 보아 평면적 형태와 다이나믹한 표면의 선을 통하여
감각적 반응을 불러일으켜 감정을 환기시켰다.

이것은 영국에서 처음 발달했으며 유럽 대륙으로 확산되었는데, 독일에서는 '유겐트
슈틸(Jugendstil)', 프랑스에서는 '기마르 양식(Style Guimard)', 오스트리아에서는
'
제체시온슈틸(secessionstil)', 이탈리아에서는 '스틸레플로레알레' 또는 '스틸레 리베
르티', 스페인에서는 '모데르니스모' 또는 '모데르니스타'라고 부른다.
아르누보란 아르누보 작품을 많이 전시한 파리의 화랑에서 만들어진 용어이다.
영국에서는 양식이 19세기 초엽 시인이자 예술가인 윌리엄 블레이크의 유연한 데생
에서 시작된 선형주의(線形主義) 전통에서 생겨났다. 그러나 이것의 직접 효시는 유기
체선(有機體線) 우수한 표현미에 많이 의존했던 삽화가 오브리 비어즐리(Aubrey
Vincent Beardsley)
심미주의, 그리고 응용미술에서 생동감 있는 양식의 중요성을
확립한 윌리엄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이다. 유럽 대륙에서는 화가 고갱과 앙리
툴루즈 로트레크가 표상적인 선을 이용한 실험작품들로 아르 누보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운동은 우키요에[浮世繪]라고 하는 일본 판화의 선형적인 도안이 유행하면서
영향을 받기도 했다.

아르누보의 뚜렷한 장식적 특징은 파동적·비대칭적인 곡선이며, 이것은 흔히 꽃줄기와
봉오리, 포도 덩굴손, 곤충의 날개 미묘하고 구불구불한 자연물의 모양을 하고 있다.
선은 고상하고 우아하며, 매우 율동적이어서 채찍과 같은 힘이 가득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래픽 미술에서 선은 형상·조직·공간·색조 모든 회화 요소들을 자체의
장식효과에 종속시킨다. 건축물과 조형미술에서 모든 3차원(입체) 형태는 구조와 장식의
융합물을 창조하면서 유기적·선형적인 리듬에 휘말리게 된다. 특히 건축물에서 이러한
장식과 구조의 종합을 있으며, 예를 들면 철물·유리·세라믹·벽돌 재료들을
자유롭게 조합하여 기둥과 대들보가 두꺼운 덩굴줄기처럼 덩굴손을 펼치는 모양이 되고,
유리창은 빛과 공기의 소통뿐만 아니라 유기적인 전체구조에서 모양의 부산물이 된다.
이러한 방법은 합리적이고 명확한 구조라는 전통적인 건축물의 가치기준과 완전히 상반된
것이다. 상당히 많은 예술가와 디자이너들이 아르 누보 양식의 작품을 만들었다.

유명한 작가들을 들어보면, 특히 오스트리아의 제체시온슈틸에 영향을 주었고 기하학적
선을 전문적으로 사용했던 스코틀랜드의 건축가이며 디자이너인 찰스 레니 매킨토시,
매우 유연하고 섬세한 구조 양식으로 프랑스의 저명한 건축가 헥토르 기마르(파리의 지하
철역 설계,1900)에게 영향을 주었던 벨기에의 건축가 헨리 벨데와 빅토르 오르타
(
브뤼셀의 P.E. 얀손가() 가옥 설계, 1892~1893), 미국의 유리공예가 루이스 컴퍼트
티퍼니, 프랑스의 가구 철공예 디자이너 루이 마조렐, 체코슬로바키아의 그래픽 디자인
예술가 알폰스 무하, 프랑스의 유리공예 보석 디자이너 르네 랄리크, 전통 구조를 가진
건물을 식물 모양의 아르누보 철세공으로 장식했던 미국의 건축가 루이스 헨리 설리번
(
시카고 공회당 설계, 1888), 선을 초월하여 건물들을 구근 모양의 곡선적이고 밝은 색조
유기적 작품으로 변형시켜 아르누보 운동의 가장 독창적인 예술가로 지목되는 스페인
건축가이자 조각가 안토니오 가우디 등이 있다.
1910
이후에 아르누보는 퇴조하여 결국 특징적인 장식양식으로는 쓰이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아르누보는 20세기 디자인의 미적 통일성으로의 이행과정에서 커다란 중요성을
갖는다.

The Flower, 1897

알폰스 무하(Alphonse Mucha: 1860~1939) 1860년에 지금의 체코
공화국인 모라비아(Moravia)에서 태어났다. 훌륭한 역사 화가가 되겠다는 꿈을 가졌던
그는, 부유한 귀족의 후원을 받아 프라하와 뮌헨의 아카데미에서 전통 종교 벽화와
역사화를 공부했다. 하지만, 1888년에 그는 파리라는 매혹적인 예술 도시의 유혹을
떨치지 못하고 뮌헨을 떠나게 된다. 파리의 쥴리앙 아카데미를 다니던 후원자의 지원이
끊기자, 그는 잡지와 책의 삽화, 달력의 그림을 그리는 부업을 시작한다.
1894
년의 어느 무하와 인쇄업자 둘만 있던 인쇄소에 급한 주문 하나가 들어온다.
르네상스 극장(Theatre de la Renaissance) 주연배우이자 당대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던 여배우 한명인 사라 베르나르(Sarah Bernhardt) 연극 지스몽다(Gismonda)
포스터를 하루만에 만들어 달라는 것이었다. 그릴 사람이 없어 무하가 그리게 석판화
포스터를, 인쇄업자는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하지만 사라 베르나르는 진부하지 않은 그의
그림을 좋아하게 되고, 만족스럽게 전속 계약을 하게 된다. 이렇게 우연한 기회를 발판삼아
알폰스 무하는 약진하게 된다. 사라 베르나르의 장신구, 의상, 무대 디자인, 포스터를 모두
맡아 하게 되면서 광범위하게 대중과 마주하게 되고, 시대의 예술적 갈증과 변화 요구에
맞아 떨어지게 되자, 당연히 그의 인기는 높아지게 되었다. 사라 베르나르의 전속 디자이
너로 일하는 것과 동시에, 무하는 샹프누아(Champe- nois) 인쇄소와 계약을 맺고, 대중
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간다. 예술은 감상하는 사람들과 가까워질수록 좋다는 그의 생각에
따라, 다양한 그래픽디자인, 달력, 일러스트레이션, 극장과 전시회 포스터, 샴페인, 비스켓류
등의 여러 상품의 광고가 대중속에 뿌려지면서, 그의 작품은 더욱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게
된다. 1900 전후에 그의 이름은 명성 자체가 되었다.

1906
년에 무하는 미국으로 간다. 무하의 그림에 매혹된 사람들과 친분관계를 가지는
동시에 뉴욕과 시카고에서 강의를 하면서, 전시회도 가진다. 그러던 무하는 다시
한번 행운의 여신으로부터 선물을 받게된다. 찰스 크레인(Charles R. Crane)이라는
미국의 부유한 기업가와 만남으로써 오랜 바램을 실현할 있게 것이다.
크레인은 개인적으로 동유럽 정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자신의 민족 슬라브(Slav)
역사를 그리고 싶다는 무하의 오랜 바램을 듣고 금전적 지원을 해주기로 결심한다.
그는 무하를 가족과 함께 체코에 다시 정착하도록 도와주고, 20폭의 기념비적인 슬라브
서사시(Slav Epic) 그릴 있도록 해준다. 무하는 1910년경부터 1939 사망하기
까지, 자신의 민족애와 슬라브 역사에의 동경을 담은 슬라브 서사시와 다른 훌륭한
역사화들을 그리며 말년을 보냈다.

아르누보는 순수예술 뿐만 아니라 각종 실용적인 디자인과 상업적인 분야까지도 포괄
했던 화려한 장식적 양식이다. 무하는 아르 누보의 그런 '포괄적인 디자인'으로의 요구
발맞추어 가장 성실하게 활동했던 화가로 일컬어진다. 그는 화가이자 그래픽 아티스
트였으며, 건축, 보석 디자인과 인테리어 장식, 조각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의 포스터, 장식판넬, 달력, 행사용 인쇄물, 잡지 표지, 삽화들은 인기를 끌었다.
매력적이고 장식적인 모티브와, 흘러 넘치는 풍부한 짜임과, 간결한 선처리, 그리고
꽃과 잎새, 무늬와 기호들 속에 수려하게 짜여넣어진 매혹적인 여인의 형상은 모든
사람을 사로잡았다. 그의 모국인 체코의 디자인과 파리의 스타일, 비잔틴과 켈트의
전통 장식 그리고 당시 유럽에 반향을 불러 일으켰던 일본의 회화 우키요에(에도
시대의 풍속화) 화풍 모두의 영향을 받은 '무하 스타일' 시대에 가장 널리 퍼진
회화 모티브로서, 한때는 아르누보 스타일 전체와 동일시 되기도 했다.

Gismonda, 1894/Poster

Theatre de la Renaissance
위한 포스터는 르메르시에즈 인쇄소의 디자인도 거절
했던 사라 베르나르가 크리스마스 이브날 잠깐 살펴보자마자 뮈샤에게 맡겨 버렸다고
한다. 문제의 공연은 Sardou Gismonda 1895 1 4일에 시작할 예정이었다.
이제까지 완전한 무명이었던 화가에 의해 제작된 포스터는 과장되게 화려한 대상과
근엄한 분위기로 주목을 받았다. 무하에게 이는 비약적인 돌파구였다.

Luchon, 1895/Poster

Job 1, 1896/Poster, Job 담배회사 포스터

작품은 모든 평론가들에게 무하의 최고의 작품으로 손꼽히는 것이다.
원형의 모티프와 세련된 구성에서 부터 굵고 조화로운 서체와 색상의 사용까지 모든것이
함께 탁월한 우아함과 아름다움과 호소력으로 다가온다.

Biscuits Lefevre-Utile, 1896/Color lithograph

Zordiac, 1896

파리의 미술 저널 플륌(La Plume)지를 위한 대형 달력 디자인에서 무하는 그의 장식
적인 재능을 십분 발휘했다. 비잔틴, 무어, 스키타이식의 장식적 요소가 작품 구석구석
가득 채워져 있다. 머리 장식의 이국적인 화려함은 그녀의 초연하고 당당한 태도와
함께 우화적인 황도십이궁의 그림에 어떤 신비한 종교 여사제의 풍모를 더한다.
작품은 무하의 가장 뛰어난 디자인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원래는 샹프누아(Champenois) 인쇄소 안에 걸어 두려고 그린 달력이었는데, 플륌지
편집장이 보고 반하여 바로 구입하여 대중에게 퍼트렸다. 그래서 그림은 한동안
프륌 달력이라고 알려졌었다.

Spring, 1896/Panel

Summer, 1896/Panel

Autumn, 1896/Panel

Winter, 1896/Panel

Cycle Perfecta, 1897/Poster

자전거 회사의 주문으로 제작된 포스터는 보다 작품의 일부분이라는 인상을
주며, 보는 사람에게 직접 다가온다. 무하의 광고에 대한 개념이 얼마나 현대적인지
있다. 그런 이유로 무하는 당시의 관습대로 확트인 시골에서 자전거를 타는
처녀를 그리지 않았다. 그대신에 자전거에 몸을 기댄 처녀의 바람에 흔들리는 머리채
이동 수단의 역동성을 표현해 내었다.

Monaco, Monte-Carlo, 1897/Lithograph

파리.리옹.마르세이유 철도 관광회사 포스터

초기 관광 광고의 테마는 지중해에서 깨어나는 봄이다. 무성히 열린 지중해의 식물
계절의 매력을 체험 땅을 덮은 하얗고 드레스를 입은 우아한 소녀로써 상징화
하고 있다. 눈덮인 들판에서 화환의 폭죽이 터진다. 포스터는 원래 파리-리옹-
마르세이유 철도회사를 위해 제작되었지만, 그래픽 아트 수집가들을 위해 광고 문구를
없애고 판매되기도 했다.

Nestles Food for Infants, 1897

The Byzantine Heads-Blonde, 1897

금발머리와 갈색머리라는 타이틀을 가진 메달 형태의 작품들은 무하의 가장 인상적인
작품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세밀하게 포착된 표정과 색상의 풍부한 표현과 더불어
사라진 비잔틴 문화의 광휘를 다시 불러오는 것만 같은 화려하고 환상적인 머리장식이
무척 매혹적이다. 작품들은 엄청난 성공을 가져와 수없이 재판 인쇄되고, 수많은
그림엽서를 장식했으며, 많은 복사본이 나돌았다. 작품을 양각으로 도드라져 보이게
하는 가죽장식과 도료를 입힌 금속장식, 얼굴 외곽선을 강조한 모티프들이 보인다.

The Fruits, 1897

Savonnerie de Bagnolet, 1897

Lorenzaccio, 1898/Poster

알프레드 뮈쎄의 연극의 초연에서 사라 베르나르는 로렌짜치오라는 남성 주역을
맡았다. 대형 인물상의 의미심장한 힘에 온전히 기대어 구성된 포스터는 어두운
르네상스 복색을 차려입고, 알렉산더 공작의 살인에 대한 깊은 생각에 빠진 주인공을
그리고 있다.

F. Champenois Imprimeur-Edeteur-Reverie, 1898

작품의 주제는 사진첩을 넘기다가 잠깐 멈춘듯이 보이는 젊은 여인의 모습으로
형상화 된다. 가슴의 사치스러운 장신구는 교묘하게 쇼올의 부분으로 보이도록
처리했다. 꿈을 꾸는듯한 여인의 모티프와 아라베스크풍의 화환의 잔가지들, 더불어
역동적으로 형상화된 꽃차례... 모든것이 융합하여 하나의 장식적 단위로 화한다.
동시대의 비평가는 여인의 미소를 극찬하였다.

Hamlet, 1898

Medee, 1898

카튈 망테스의 비극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장면 중의 하나이다.
메데(Medee) 공포에 눈을 휘둥그레 뜨고, 복수 때문에 자신이 죽인 자식의 시체
옆에서 있다. 배경에는 불길한 날의 여명이 밝아온다. 붉은 빛과 보라빛 색조의
사용으로 분위기는 극대화된다. 그리스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모자이크, 오래되어
보이는 서체와 종려잎 무늬 등의 장식적인 요소들이 극의 고전적인 배경을 암시한다.

Dance, 1898/Decorative panel

La Samaritaine, 1899

Moet & Chandon, Cremant Imperial, 1899/Poster

Lefevir-Utile Biscuits-Flirt, 1899

Moet et Chandon-La Champagne White Star, 1899

Heidsiech & Co., 1901

Carraige Dealers, 1902/Poster

Lefevre-Utile-Sarah Bernhardt, 1904

Fuchsia Necklace, 1905

Designed by Mucha, made by the jeweler Georges Fouquet opal, cabochon saphire,

brilliants, gold mount Petit Palais, Paris

Princess-Hyacinta, 1911

무하가 모국에서 제작한 하나의 포스터인 작품은 Princezna-Hyacinta라는 발레
무언극의 광고였다. Ladislav Novak 원작에 Oskar Nedbal 음악을 담당한 극이었다.
줄거리에 맞게 무하는 동화같은 화려함을 창조해 내었다. 꽃으로 장식된 왕관,
신비로운 상징들로 장식된 동심원들, 배겅의 별무늬 등은 무하가 파리에서 자신의
창조욕을 최고로 발휘했을 만들어 내었던 모티프 레퍼토리의 기본 요소들에서
변화를 추구했음을 나타낸다.

Jaroslava(Mucha's Daughter), 19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