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미술사 참고자료/추상표현주의

서양미술사72 추상표현주의 : 몬드리안

AH101 2012. 2. 16. 22:24
반응형

   

서양 미술사 - 72(추상표현주의: 몬드리안)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1872~1944)


본명은 피터 코르넬리스 몬드리안이며, 1872 암스테르담 부근의
아멜스포르트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부친은 정통적 '칼빈파'였다.
태어날 때부터 엄격한 종교적 분위기에 젖어 있었으며, 이런 분위기에서의
성장이 몬드리안 예술을 결정지은 인자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숙부인 푸리츠 몬드리안에게서 그림의 초보를 배운 , 1892
암스테르담의 아카데미에 들어가 그림을 배웠다.
어려서부터 회화에 매혹되었던 그는 처음에는 자연주의적 수법으로 풍경과
정물을 그렸으나 1908 마티스에 감명을 받고 새로운 방법을 찾아 순수색
으로 전환하였다. 또한 프로푸와 알게되어 1909년에는 공동 전시회를 열었다.
1910
파리로 나와 들로네, 레제, 피카소의 영향을 받아 큐비즘으로 전향하여
대상의 추상화를 지향함으로 비구상적 경향의 연작(나무) 시도하였다.
여기서는 대상을 기본 형태에까지 환원하려는 의욕이 현저하게 엿보이고
있다. 1914 아버지의 병으로 귀국한 그는 1 세계대전으로 암스테르담에
거주하면서 1917년에는 되스부르크, 데르 레크 등과 함께 '데슈틸' 그룹을
결성하였다.

1918
재차 파리로 나와 1920 ()조형주의를 창시하여 순수추상을
지향하는 유력한 작가로 발돋움하였다.
따라서 1914-1919 동안 몬드리안의 추상적 세계로의 진입기라고
여기며 신조형주의는 점차 화면에 수직선, 수평선만 남겨 이들을 가지고
빨강, 노랑, 파랑의 원색만으로 팽팽하게 칠해진 화면을 분할토록 하는 것이다.
명백함과 표현수단 사용의 엄격한 절제라는 원칙에 지배되는 사조로
말레비치의 절대주의와 더불어 기하학적 추상의 원류를 이룬다.
이처럼 그의 독창적인 스타일은 한층 더욱 명확하게 드러났다. 1925 이념적
갈등으로 데슈틸을 떠난 몬드리안은 독자적인 신조형주의 이념 체제를 구현해
나갔다. 1931년에는 파리에서 국제적인 추상미술의 결집인 추상창조에
가담했다. 1938 영국 런던으로 건너가 니콜슨과 그의 부인 바바라
헤프위스와 나움가보, 레슬리, 마르틴과 합류하여 영국에서 추상미술의 전개에
크게 기여하기도 했다. 그러던 , 독일 나치군의 폭격이 격화되자 1940
10
3 안정된 곳을 찾아 미국 뉴욕으로 왔다.
그의 마지막 작품들은 뉴욕의 모습을 담은 것이다. 브로드웨이 부기우기
빅토리 부기우기를 제작하였는데 마지막 작품이었던 그림에선 검은색의
직각망 조직은 사라지고 빨강, 노랑, 파란색의 수많이 채색된 작은 정사각형이
자리를 대신 하였다.
1940-1944
, 작고하기까지 몬드리안 세계는 분명 20년대와 30년대의
단순하고도 엄격한 기하학적 포름의 연장은 아니었다.
수평, 수직, 삼원색, 삼비색이란 기본적 조형요소를 그대로 간직하면서도 더욱
복잡하고 더욱 경쾌한 리듬과 구조의 풍부함을 드러낸 것이었다.
엄격하고 무거운 구성과 절제의 세계에서 벗어나 어린아이 같은 천진한
감성과 생애 즐거움을 화면에 표현했다.
특히 빅토리 부기우기 작품은 연합군의 승리를 확신하는 염원으로 제작의도는
확실히 이전의 제작태도에선 상상할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연합군의 승리를 보지 못한 1944 2 1
72
세의 나이로 머레이힐 병원에서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몬드리안은 신조형주의의 주창자로서 가장 신조형주의의 조형원리를 구체적
으로 표현할 있었던 당사자였다. 몬드리안은 그의 작품에서 회화로서의
신조형주의를 구체화시키는 것과 함께 신조형주의에 대한 그의 견해를 피력한
글들에서 신조형주의를 단지, 회화의 혹은 건축의 디자인의 조형양식으로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신조형주의를 삶의 인간에 대한, 혹은 사회 전반에
대한 원리로 확대시키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몬드리안의 작품은 이지적으로
냉정한 '차가운 추상' 대표작으로 불리우고 있지만 외의 신조형주의가
남긴 흔적이라던가 이념에 대해서는 접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사실 신조형주의의 본질은 그렇게 휘황찬란한 장광설보다는 그의 작품
이나 생활에서 찾아볼 있는 단어로 설명될 있다고 본다.
그것은 바로 '균형'이다. 단어를 빼고 신조형주의나 그의 작품에 대해서
논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한다.

*Molen (Mill); Mill in Sunlight, 1908*

*Avond (Evening); Red Tree, 1908*

*Amaryllis, 1910*

*Composition No. II; Composition in Line and Color, 1913*

*Ocean 5, 1915*

*Composition with Color Planes and Gray Lines 1, 1918*

*Composition with Gray and Light Brown, 1918*

*Composition A: Composition with Black, Red, Gray, Yellow, and Blue, 1920*

*Lozenge Composition with Yellow, Black, Blue, Red, and Gray, 1921*

*Composition with Large Blue Plane, Red, Black, Yellow, and Gray, 1921*

*Composition with Red, Yellow and Blue, 1921*

*Composition with Blue, Yellow, Black, and Red, 1922*

   

   

 

 

   

   

   

   

   

   

***슈뢰더 하우스, 1923

   

*Lozenge Composition with Red, Black, Blue, and Yellow, 1925*

*Fox Trot; Lozenge Composition with Three Black Lines,1929*

*Composition with Yellow Patch, 1930*

*Composition No. III Blanc-Jaune, 1935-1942*

*Rhythm of Black Lines, 1935/42*

*Composition blanc, rouge et jaune, 1936*

*Composition No. 8, 1939-42*

*Composition No. 10, 1939-1942*

*New York City, 1941-42*

*Broadway Boogie Woogie, 1942-1943*

   

반응형